반응형

Mechanical Engineering Study 198

난삭재, 난삭재 종류, 난삭재 대책

1. 난삭재 1) 난삭재 정의 난삭재란 절삭가공이 어려운 재료를 모두 난삭재라고 분류한다 고온 강도가 크거나, 열전도율이 낮은 경우도 있을 것이며, 경도가 크거나.. 여러 요인이 있을 수 있음 딱 정해져있는게 없어서, 현장에서 '난삭재'라고 표현하는 재료의 특성, 혹은 배경을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다 ① 피가공물 재질 그 자체가 난삭성을 야기 티탄 합금, 초내열합금, 세라믹, FRP 등 ② Al합금과 주철 등의 동시 가공 개별 절삭시 문제가 없으나 함께 절삭시 난삭성이 생김 ③ 절삭데이터가 없는 신소재  ④ 형상적, 혹은 구조적으로 절삭 가공이 곤란한 재료 채터링이 생기기 쉽거나, 선삭시 가늘고 긴 재료, 박육의 용접 구조물, 구멍 지름에 대하여 구멍 깊이가 엄청 깊은 형상 등 ⑤ 현재 공작기계 수준으로 ..

제조물 책임법, PL(Product Liability)법, 제조물책임법 고려사항

1. 개요 1) 제조물 책임법(PL법) 정의  제 1조(목적) 법은 제조물의 결함으로 발생한 손해에 대한 제조업자 등의 손해배상책임을 규정함으로써 피해자 보호를 도모하고 국민생활의 안전 향상과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 3조(제조물 책임)  ① 제조업자는 제조물의 결함으로 생명ㆍ신체 또는 재산에 손해(그 제조물에 대하여만 발생한 손해는 제외한다)를 입은 자에게 그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제조업자가 제조물의 결함을 알면서도 그 결함에 대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지 아니한 결과로 생명 또는 신체에 중대한 손해를 입은 자가 있는 경우에는 그 자에게 발생한 손해의 3배를 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배상책임을 진다. (징벌적 손해배상) 본문" data-og-desc..

공정설계 고려 사항 : 자본집약도 (capital intensity), 자원유연성 (resource flexibility), 수직적 통합 (vertical integration), 고객 참여 (customer involvement)

24-2-6 공정설계의 의미와 공정설계를 위한 고려사항 중 자본집약도 (capital intensity), 자원유연성 (resource flexibility), 수직적 통합 (vertical integration), 고객 참여 (customer involvemen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개요 1) 공정 설계 정의  제조공정설계는 제품을 생산하고자 할 때 그 제품의 제조과정, 즉 공정(Process)에 관한 것으로, 원자재를 이용하여 도면을 따라 제품을 제조해 나가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것 어떤 제조과정으로 생산하느냐에 따라 제품 생산시간, 생산난이도, 생산가능여부가 달라짐 각 제조공정에서 사용해야할 장비의 선택, 도면설계상의 재조효율성, 공구의 선택, 전용기 적용 여부 등 여러가지 생산조건..

CNC 가공정밀도, 가공정밀도 영향 요인, 가공오차, 오차 감소 방안, CNC 열특성

24-2-2 CNC 머시닝센터의 구조 측면에서 가공 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하여 수직형과 수평형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24-4-4 공작기계로 공작물 가공 시 발생하는 1) 가공오차의 종류 2) 가공오차의 발생 원인과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4-2 CNC 공작기계를 연속적으로 장시간 사용시 주축의 열변위 특성의 향상방안을 설명하시오 1. 개요 1) 가공정밀도 개요 가공정밀도는 정밀공작을 위해 굉장히 중요하며, 가공정밀도를 저하시키지 않기 위해 관련 원인과 대책의 정확한 인식이 중요함기계가공의 최선의 정밀도는 길이의 0.001%가 한계로 봄 (1000mm 기준 0.01mm)  방전가공 (EDM; Electric Discharge Machining)특수가공 방전가공..

절삭공구 선정 기준, 소재별 절삭 조건 (절삭속도, 이송, 절삭깊이)

1. 개요 1) 절삭공구 구비 조건 ① 고온경도 (hat hardness) : 높은 절삭열로 인한 고온에서도 경도가 저하되면 안됨② 내마모성 (resistance wear) : 절삭공구와 재료의 마찰로 인해 쉽게 마모되면 안됨③ 강인성 (toughness) : 단속절삭, 외력 등을 받았을때 충격에 대한 저항을 가지고 있어야함④ 저마찰 (low friction) : 마찰계수가 적을수록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절삭이 가능함⑤ 성형성, 가격이 염가여야함  2 )절삭공구 재료 종류 ① 탄소 공구강 (STC1 ~ 7)② 합금 공구강 (KS D 3753, STS1~, STD 1 ~) : 절삭공구용이 STS, 냉간금형용이 STD/STS, 열간 금형용이 STD③ 고속도강 (SKH2 ~ )④ 소결 초경 합금 (P종, M종,..

기어의 파손, 파손 원인, 고장 모드

1. 개요 1) 기어의 파손 개요 기어의 파손은 크게 미끄럼마모 (sliding wear), 부식,과열, 침식, 영구변형(압흔, 소성변형, 리플링, 릿징, 버), 손사, 치면 피로(피팅, 플레이크, 스폴링), 갈라짐, 균열, 이의 절손 등이 있다  기어의 재료, 기어의 열처리1. 개요 1) 기어의 재료 개요 치차는 기본적으로 큰 동력을 전달해야하기 때문에 제한된 수의 금속과 합금강만 적합함 충분한 강도와 마모 저항, 경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합금강에 표면경화romanticdeer.tistory.com 전위기어, 전위기어의 목적, 전위기어 활용14-1-5 전위기어의 정의와 사용목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개요1) 전위기어 (profile-shifted gear)의 정의 표준 보통 기어의 치형곡선을 벗어..

기어의 재료, 기어의 열처리

1. 개요 1) 기어의 재료 개요 치차는 기본적으로 큰 동력을 전달해야하기 때문에 제한된 수의 금속과 합금강만 적합함 충분한 강도와 마모 저항, 경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합금강에 표면경화 혹은 전경화를 하는 것이 일반적임 혹은, 해양 환경과 같이 높은 부식저항이 필요한 경우 청동이 사용됨. 청동 기어와 강 피니언의 조합은 재료 호환성과 적합성에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치차 파손의 두 가지 형태는 이뿌리에서 발생하는 변동 굽힘 응력으로 인한 피로파괴와 치면피로파손 (피팅, pitting)임따라서 재료 선정시, 굽힘응력과 접촉응력에 관한 피로강도 자료가 필요함. (AGMA에 의해 축적되어옴)AGMA 굽힘피로강도 데이터는 반복횟수 10^7회의 반복응력에 대하여 99%의 신뢰도 수준을 가짐  2. 치차 재료 종류..

인발가공(drawing), 인발 가공 영향 요인, 인발력

23-3-1 인발가공에 있어서 인발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열거하고 설명하시오.20-1-3 다음 소성가공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압연가공 나. 압출가공 다. 인발가공 라. 프레스가공 마. 단조가공16-2-2 인발 가공에 대해 설명하고 인발 가공에 영향을 주는 요인 5가지를 설명하시오.  1. 개요 1) 인발가공(Drawing) 정의 인발은 다이(Die) 내의 테이퍼 구멍으로 소재를 잡아당겨 테이퍼 구멍과 동일한 단면의 봉재, 관재, 선재를 제작하는 가공법 압연으로 가공이 곤란한 지름이 작은 봉재나 두께가 얇은 파이프의 가공 목적 소재 1회 통과시 단면 감소율은 재질에 따라 10 ~ 40%로 하며, 제품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봉재인발, 선재인발, 관재인발로 나눌 수 있음 (1) 봉재 인발 (soli..

공정설계, 품질, 제조업 관련 용어 정리

1. 용어 정리 1) 공정설계 관련 용어  공정설계 (Process Engineering, Process Design)제조공정설계는 제품을 생산하고자 할 때 그 제품의 제조과정, 즉 공정(Process)에 관한 것으로, 원자재를 이용하여 도면을 따라 제품을 제조해 나가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것 어떤 제조과정으로 생산하느냐에 따라 제품 생산시간, 생산난이도, 생산가능여부가 달라짐 각 제조공정에서 사용해야할 장비의 선택, 도면설계상의 재조효율성, 공구의 선택, 전용기 적용 여부 등 여러가지 생산조건 또는 생산 방법에 따라 공정의 생산 효율은 달라질 수 있음 최종 결과물로는, 제작/외주 결정을 할 수 있고 공정 형태를 결정할 수 있으며 가공 방법을 결정할 수 있음 공정에는 개별공정, 흐름공정(assem..

고속도강(HSS, SKH2,3,51,59...) 열처리, 고속도강, 고속도강 2차 경화 현상, 고속도강 종류

1. 개요 1) 고속도강 (HSS) 정의고속절삭시 온도 상승에 따라 경도, 강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Co, Mo 등을 다량 첨가하여 고온 경도를 유지 고탄소강 + 탄화물 형성 원소 (W, Cr, V, Mo, Co) + Q&T합금공구강 대비(W, Cr, V) Co, Mo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고합금강절삭공구재료로 적당하여 금속가공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대표적인 것은 18%W, 4%Cr, 1%V의 18-4-1형임  2) 고속도강 특징담금질 후 뜨임하면 HRC 65까지 올라가 충분한 경도를 유지하며, 단속 절삭을 버티는 강인성을 가지고 있음 또한, 자경성이 있어 경화가 용이하며, 고속도로 절삭시 절삭온도상승에 상당히 강함 (고온경도 약 600도 한계)Co는 오스테나이트 조직에 고용되어 담금질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