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echanical Engineering Study/공정설계 29

JIT (Just-In-Time, 적기공급생산), JIS (Just-In-Sequence, 직서열생산방식)

1. JIT 1) JIT (Just-In-Time, 적기공급생산)정의 적기공급생산, 적시생산방식으로 불림 재고를 쌓아두지 않고 필요할때 적기에 제품을 공급하는 방식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에 적절한 생산방식이며, 적은 비용 아래 품질을 유지하여 적시에 제품을 인도하기 위한 생산 방식임 도요타 생산방식의 축을 이루고 있음 전통적인 대량생산 시스템은, 수요 예측에 근거하여 원자재를 대량으로 구매, 보관하고 완제품이나 중간재 형태로 재고를 유지하다가 주문이 들어오면 이를 납품하는 방식이었지만, 이는 과잉재고나 과소재고, 보관 및 자재에 대한 관리 비용 부담이 컷음 팔릴 물건을 팔릴 시기에 팔릴 만큼만 생산하여 파는 방식 2) JIT 특징대부분 좋지만, 부품 조달 업체의 사정으로 인해 배송이 지연되거나 중단되면 생..

위탁생산 방식,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주문자 상표 부착 방식), ODM(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생산자 개발 방식)

1. 개요 1) 생산 전략의 결정생산전략은 제품의 특징, 수량, 기업의 전략적 방향성에 따라 유연하고 신중하게 선정해야하며, 그 중 가장 초기에 선택해야하는 전략이 OEM, ODM 등의 선택이다 해당 선택에 따라 필요한 인원 규모, 능력, 설비, 공장, 연구소 등 모든게 달라지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2024.07.30 - [Mechanical Engineering Study/공정설계] - 생산방식, 생산전략 (CTO, ATO, MTO, ETO, BTO, MTS), 주문자생산방식, 재고생산방식2024.07.26 - [Mechanical Engineering Study/공정설계] -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 관리)2024.07.26 - [..

생산방식, 생산전략 (CTO, ATO, MTO, ETO, BTO, MTS), 주문자생산방식, 재고생산방식

1. 개요 1) 생산방식, 생산전략의 정의  생산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제조업 분야에서는 다양한 생산 전략을 가지고 취급 부품 및 재료, 부품의 특성, 고객사 특성에 따라 적절한 생산전략을 선택할 필요가 있음 생산전략에 따라 고객 참여도가 달라짐  공정설계 고려 사항 : 자본집약도 (capital intensity), 자원유연성 (resource flexibility), 수직적 통합 (vert24-2-6 공정설계의 의미와 공정설계를 위한 고려사항 중 자본집약도 (capital intensity), 자원유연성 (resource flexibility), 수직적 통합 (vertical integration), 고객 참여 (customer involvemen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romanticdee..

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공장정보화시스템)

스마트팩토리 (Smart Factory), 공장자동화 (FA; Factory Automation)와의 차이, CPS, ERP, MES22-1-5 데이터 수집 측면에서 생산자동화(공장 자동화)와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22-1-8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시설 통합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CPS(Cyber Physics System)에 대하romanticdeer.tistory.com 1. 개요 1) 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의 정의 생상공정 내의 모든 자원 (인력, 장비, 자재)의 공정단위의 생산계획을 현장에서 실행하는 것은 물론 생산 관련 품질 데이터까지 다루는 공장정보화시스템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연동할 수 있으며, 표준화를..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 관리)

스마트팩토리 (Smart Factory), 공장자동화 (FA; Factory Automation)와의 차이, CPS, ERP, MES22-1-5 데이터 수집 측면에서 생산자동화(공장 자동화)와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22-1-8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시설 통합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CPS(Cyber Physics System)에 대하romanticdeer.tistory.com1. 개요 1)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지원 관리) 정의재무, 인사, 제조, 구매, 서비스, 생산 등 여러 프로세스 전반을 통합하여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 MES와 밀접한 연계를 통해 프로세스가 유기적으로 진행되며, 기업에서 발생하는 정보들..

PFMEA (Process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1. 개요 1) PFMEA 정의 Process 초기단계에서 잠재적 결함을 예측하고, 발생 가능한 문제들을 사전에 감지하고 방지하는 작업 DFMEA와 그 과정은 동일하며, 차이점은 DFMEA는 설계 시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초점을 두지만 PFMEA는 공정 단계에서 발생 가능한 고장의 모드를 결정하고, 위험성의 정도와 방지대책 등을 확인, 해당 고장이 제품 또는 시스템의 공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하는 절차. 2) PFMEA와 DFMEA의 차이점예를 들어, 특정 부품에 파손이 발생하였다고 가정이때는 '부품의 파손'이 FMEA의 실패 (Failure)임 DFMEA 관점 - 사용 조건에 맞지 않는 잘못된 재질을 선정하여 설계한 것 - 설계 승인 전 부품 재질 신뢰성 테스트PFMEA 관점- 공정 라인에서 작업..

공작기계 정밀도 검사

1. 개요 1) 공작기계(machine)의 정의 공작기계는 가공을 위해 사용하는기계재료를 절삭 또는 비절삭의 가공방법으로 필요한 형상과 치수로 가공하거나 보다 정밀하게 가공할 목적으로 가공하는 모든 기계를 의미  2) 공작기계의 구비 조건① 절삭 가공 능력이 우수할 것② 조작이 용이하고 안정성이 우수할 것③ 제품의 표면 정밀도, 치수 정밀도가 우수할 것 ④ 동력 손실이 적을 것 ⑤ 기계 및 요소 부품의 강성이 우수할 것  3) 공작기계 검사의 필요성범용 공작기계의 경우, 재료의 특성과 종류가 다양하고 절삭력이 일정하지 않은 가공을 수행 따라서 정확한 가공을 위해서는  위해서는, 각 기계의 성능 및 정밀도 유지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이를 위해 주기적인 검사 및 시험을 통하여 기계의 내구성을 향..

4M (Man, Material, Machine, Method), 4M 변경시 조치사항, 4M 변경 절차

1. 개요 1) 4M 정의 기업에서 제품/서비스를 생산할때 그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4가지 요소 사람 (Man), 재료(Material), 설비(Machine), 방법(Method)이 4M의 구성 요소 이에 대한 관리를 체계적, 철저히 해야 적절한 품질 수준을 유지할 수 있고, 이를 위해 기업은 각각의 항목에 대한 관리방안 및 관리 기준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각 관리기준 및 변경사항을 모니터링, 신고 및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함 ex. RFQ 제출시, 혹은 견적 산출시 제출한 인력 규모가 있을것이고 이를 기반으로 노무비가 산출이 됨. 하지만 인원의 수나 경력이 바뀌게 되면, 원청 입장에서는 품질 수준이나 제조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할 수 밖에 없음 (실제로 업무 조건이 달라지기..

욕조곡선(bath-tub curve), 수명곡선, 고장율 곡선, 제품 수명 주기, DFR, CFR, IFR

19-1-2 시스템의 수명곡선인 욕조곡선(bath-tub curve)을 그리고, DFR, CFR, IFR에 대하여 설명하시오.19-3-2 제품 수명 주기의 단계별 특징, 대응 전략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개요 1) 제품 수명곡선, 욕조곡선 (bath-tub curve) 정의 사용 중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고장률을 시간의 함수로 나타낸 곡선 고장률의 시간에 따른 양상을 볼 수 있으며, 고장패턴을 파악할 수 있음  2. 수명곡선, 고장률 곡선의 구성  1) 고장 패턴단일 부품의 고장확률밀도함수는 정규분포이며, 사요시간이 증가할수록 고장률은 증가함 여러 부품의 고장확률밀도함수는 지수분포에 따르며, 고장률은 시간에 관계없이 일정함 DFR (Decreasing Railure Rate, 감소 고장률)CFR (C..

Error Prevention, 위험성 평가, HAZOP, FMEA, FTA

1. 개요 1) 위험성 평가 정의 유해, 위험 요인을 파악하여 위험성의 정도를 결정하는 일련의 과정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위해 시행.사업주와 근로자가 주체가 되어, 안전보건관리책임자, 관리감독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안전보건담당자 등이 참여하여 각 역할 분담 후 위험요인을 찾아내게 됨정성적 위험성 평가 기법중 가장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 공장 및 플랜트 혹은 설비에 대하여 위험성과 운정성을 정해진 규칙과 설계도면을 바탕으로 체계적 분석 및 평가하는 방법정성적 평가 방법 (FMEA, PHA, Checklist, HAZOP)정량적 평가 방법 (ETA, FTA, CA, CCA, MORT, THERP) 2) 위험성 평가의 일반적인 절차 (1) 위험성 평가 및 대책 실시단계1단계 : 위험요인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