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JIT
1) JIT (Just-In-Time, 적기공급생산)정의
적기공급생산, 적시생산방식으로 불림
재고를 쌓아두지 않고 필요할때 적기에 제품을 공급하는 방식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에 적절한 생산방식이며, 적은 비용 아래 품질을 유지하여 적시에 제품을 인도하기 위한 생산 방식임
도요타 생산방식의 축을 이루고 있음
전통적인 대량생산 시스템은, 수요 예측에 근거하여 원자재를 대량으로 구매, 보관하고 완제품이나 중간재 형태로 재고를 유지하다가 주문이 들어오면 이를 납품하는 방식이었지만, 이는 과잉재고나 과소재고, 보관 및 자재에 대한 관리 비용 부담이 컷음
팔릴 물건을 팔릴 시기에 팔릴 만큼만 생산하여 파는 방식
2) JIT 특징
대부분 좋지만, 부품 조달 업체의 사정으로 인해 배송이 지연되거나 중단되면 생산라인 전체가 멈출 수 있음
- 혼류 생산 방식
(ex. 자동차 한개의 라인에서 여러개의 차종을 조립 생산) 유연성을 추구함 - 리드타임 단축
- 납기 준수
- 재고 감소
공장 내 쌓여있는 재고 자산은 현금 흐름을 악화시키고 자본 비용을 증대시킴 - 생산성 향상, 원가 절감
불용자원 축소로 재료비 및 제반 경비 절감이 가능함 - 불량 감소, 품질 개선
불량품 투입 여지를 원천 차단 - 고객 만족도 향상
입고까지의 시간이 단축되어 경재력이 강화됨
3) JIT 구현 필요 요소
일반적으로 자동차회사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부품업체로부터 필요한 부품을 필요한 시기에 필요 수량만큼 공급받아 재고량을 최소화 하는 방식으로 사용됨
이를 위해서는 협력사와의 긴밀한 협조체제 구축, 자동화 설비투자 확대, 다품종 소량생산 구조의 적용이 필요함
또한, 이는 MTS 제작방식과 완전히 상반된 방식으로, MTO 기반의 BTO, CTO등의 제작 방식과 적합함 (주문자 생산 방식)
또한, 공정에 있어 차질이 없고 유연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관련 제조 시스템의 구축이 필수적임
(ERP, MES, 스마트 팩토리, FMS 등)
2024.07.26 - [Mechanical Engineering Study/공정설계] -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 관리)
2024.07.26 - [Mechanical Engineering Study/공정설계] - 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공장정보화시스템)
FM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유연생산시스템), GT (Group Technology, 그룹테크놀로지), 셀형 제조 방식 (
1. 개요 1) FM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정의 여러 가지 부품 유형들의 혼합과 수요 패턴 변화에 따라 조정되는 생산량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1) 여러 작업장에서 다양한 부품 유형을 동시에 처
romanticdeer.tistory.com
2. JIS
1) JIS (Just - In - Sequence, 직서열 생산 방식) 정의
JIT 방식에 '순서' 라는 개념을 추가
기존 JIT방식은 공급업체에서 어떠한 반제품을 만들어 공급하려고 해도, 고객사에서 당장 그 부품에 필요한 다른 공정을 진행하고 있다고 하면 해당 부품은 재고가 됨 (재고의 총 양은 적지만 일단 재고)
JIS방식은 고객의 생산 순서를 사전에 파악, 그들의 요구 조건에 맞춰 순서 그대로 제품을 만들어 공급하는 방식
이를 동일한 서열로 생산한다고 표현하며, 재고를 0으로 만들 수 있음
최종 완성품을 만드는 업체 (ex. 자동차 OEM)가 서열 번호를 매겨, 실시간으로 부품 업체에 발주를 하는 생산방식. JIT에 조립 순서까지 더해져 발전한 것이 JIS라고 할 수 있음
현대모비스의 경우, 서열 번호를 매겨 실시간으로 모듈 업체에 발주를 넣음. 각 모듈업체는 해당 서열번호를 바탕으로 순서대로 각 모듈에 맞는 사야으로 조립하여 완성차 업체의 발주에 맞는 모듈을 하나씩 생산함
예를 들어, FEM 모듈 생산시, 의장 조립라인에 도착하기 전 PBS(Painted Body Storage)단계에서 모듈업체로 네트워크를 통해 최종 서열 정보가 전달되면, 모듈 업체는 조립을 시작하여 최종적으로 시간이 소요되고, 상차시간, 완성차 조립공장으로 운반하여 직서열로 투입되는데 시간이 소요되어 총 90분의 시간이 소요됨
2) 특징
- 재고를 아예 0으로 만들 수 있음
현대모빗의 경우, 헤드렘프와 범퍼시스템 등 자동차 앞부분을 구성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 (FEM)을 조립한 후 현대차에 납품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80분에 불과하며, 갓 생산된 모듈을 곧바로 트럭으로 실어 나르기 때문에 현대모비스 공장에는 재고를 쌓아두는 공간 자체가 없음
하지만, 재고가 없기 때문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제품 자체의 생산에 큰 차질이 생길 수 있음
(Ex. 코로나때 반도체 부족으로 인한 전장품 생산 불량으로 하이브리드차량의 경우 대기기간이 2년에 가깝게 형성됨)
- 재고 관리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지 않음
3. 고찰
1) JIS와 JIT의 차이
기본적으로 JIT에 순서라는 개념을 도입해서 순차적으로 납품하는 개념이 JIS
반응형
'Mechanical Engineering Study > 공정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탁생산 방식,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주문자 상표 부착 방식), ODM(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생산자 개발 방식) (0) | 2025.02.27 |
---|---|
생산방식, 생산전략 (CTO, ATO, MTO, ETO, BTO, MTS), 주문자생산방식, 재고생산방식 (1) | 2025.02.24 |
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공장정보화시스템) (0) | 2025.02.20 |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 관리) (0) | 2025.02.13 |
PFMEA (Process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