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echanical Engineering Study 199

최대실체조건(MMC), 최소실체조건(LMC), 실효치수(VS), 형체치수무관계(RFS), 데이텀 형체 최대실체조건, FOS 최대실체조건

20-1-11 최대 실체 공차방식 적용에서 실효치수(virtual siz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20-4-2 최대실체치수(maximum material size)를 서술하고, 다음 위치도 공차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18-1-11 MMC와 LMC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개요 1) 정의 기하공차를 지정할때, 공차규제의 중요한 기준이 되는것이 최대실체조건, 최소실체조건, 실효치수, 형체치수무관계 등이 있음   2. 최대 및 최소 실체 조건  1) 최대 실체 조건 (MMC; Maximum Material Condition)크기를 갖는 구멍, 축, 핀, 홈, 돌출부 등과 같은 형체가 최대 질량의 실체를 갖는 부품 형체의 조건을 의미함 (규제되는 물건의 부피가 최대인 공차의 조건) 모든 제품에는 치수공차를..

워터젯 가공(water jet machining), 워터젯 절단, 연삭입자 워터젯 가공

17-1-7 워터젯 가공기 노즐에 사용되는 재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개요 1) 워터젯 가공 (water jet machining) 정의 물의 압력을 초고압 (3500 ~ 4000 bar) 이상으로 압축하여 물의 정지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한 후, 0.75mm 미세한 노즐을 통해 음속 이상의 속도로 좁은 면적에 집중적으로 분사시켜 소재를 정밀 절단하는 방법초고압수에 연마제 (garnet)을 노즐에서 혼합하여 가공 절단, 절단 능력을 높일 수 있음 경도가 높은 입자를 같이 분사시키지만, 국부적으로 높은 응력을 줄 수 있다면 입자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나 경도는 딱히 요구되지 않음   2) 워터젯 절단 특징① 거의 모든 소재 절단이 가능함 (강, 플라스틱, 알루미늄, 구리, 유리, 비타 비금속 등)② ..

레이저 가공, 레이저 절단, 레이저 컷팅, 레이저 용접, 레이저 열처리

1. 레이저 가공 개요  1) 레이저 가공 정의 레이저(Laser)을 이용한 가공 (주로 전단 공정 - 트리밍, 노칭, 컷팅, 파팅 등) 대기중에서 비접촉으로 필요한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을 레이저가공이라 하며, 레이저 광원의 빛 중 밀도가 높은 단색성과 평형도가 높은 지향성을 이용, 렌즈나 반사경으로 이를 집적하여 가공물에 빛을 쏘이면 순간적으로 가열되어 용해되거나 증발되는 원리 기체레이저, 액체레이저, 고체레이저, 반도체레이저 등이 있음 (난삭재 미세가공에 적합함)  2) 레이저 가공기 구성전원부, 발광부, 집광부, 가공물과 이동 테이블,  TV, 모니터 등을 포함함   2. 레이저 가공 특성 및 종류 1) 레이저 가공 특성  ① 광학렌즈로 집속이 가능해 매우 미세한 가공이 가능 ② 파워밀도를 증대할 ..

아연도금(zinc plating, galvanizing) , 크로메이트(chromate), 크로뮴산염처리

금속 14-3-2 금속용융액으로부터 금속이온을 환원 석출시켜 금속피막을 만드는 표면처리방법을 설명하시오16-4-6 자동차 외판의 하지도장으로 사용하는 인산염 피막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14-1-8 양극산화처리(Anodizing)에 대해서 설명하시오.13-4-3 물리증착법(PVD: physical vapor depositon)을 설명하시오 1. 개요2024.06.29 - [Mechanical Engineering Study/열처리 | 금속재료] - 부식의 종류, 부식의 원리, 스테인리스강부식, 틈부식, 알루미늄 부식, 주철 부식, 주철의 내식성2024.07.06 - [Mechanical Engineering Study/열처리 | 금속재료] - 방식, 방청, 부식 방지, 부식 대책 1) 도금의 구분 피막형성..

구리, 구리합금의 용접성, 용접 대책

1. 구리와 구리 합금의 용접 1) 구리, 구리합금의 정의순동은 적색, 혹은 적색을 띄며 내식성, 가공성이 좋고 색상이 아름다우며 전기 전도성과 열 전도성이 은 다음으로 높은 금속으로 전기공업분야에 많이 사용되며, 순금속으로 사용하기보다는 합금으로 많이 사용됨 원자번호 29,원자량63.55로 금속재료 중 은회색을 띄지 않는 적색의 금속이다.비중은8.96으로Fe보다 조금 크고 융점은1083℃로 낮다.탄성율은약110㎬ (11,200㎏f/㎟),강성율(剛性率)은 약44.1㎬(4,500㎏f/㎟)이다 구리(Cu), 구리합금, 황동(brass), 청동(bronze)1. 개요 1) 구리의 정의순동은 적색, 혹은 적색을 띄며 내식성, 가공성이 좋고 색상이 아름다우며 전기 전도성과 열 전도성이 은 다음으로 높은 금속으로 ..

브레이징(brazing), 브레이징 종류, 브레이징 방법

1. 브레이징 1) 브레이징 정의동일한 종류의 금속 또는 이종의 금속을 접합시키려고 할 때, 접합할 모재는 용융시키지 않고 모재보다 용융 점이 낮은 금속 또는 그들의 합금을 용가재로 사용하여 두 모재간의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금속을 접합하는 방법 원자 상호간의 거리를 좁혀 원자간의 인력을 이용하여 접착을 함. 브레이징성은 용접 모재인 고체와 땜납인 액체가 어느 만 큼의 친화력을 가지고 서로 접촉될 수 있느냐에 달려있음. 땜납의 용융온도에 따라 솔더링과 브레이징으로 구분됨 솔더링은 우리가 흔히 아는 납땜으로, 인두로 롤형태로 감긴 솔더를 녹이면서 실시하고, 브레이징은 황동 용접봉 등을 토치로 녹이면서 실시함 - 솔더링 : 융점이 450도 이하인 용가재 (납 솔더 183도, 무연 솔더 217도) - 브레이..

Error Prevention, 위험성 평가, HAZOP, FMEA, FTA

1. 개요 1) 위험성 평가 정의 유해, 위험 요인을 파악하여 위험성의 정도를 결정하는 일련의 과정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위해 시행.사업주와 근로자가 주체가 되어, 안전보건관리책임자, 관리감독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안전보건담당자 등이 참여하여 각 역할 분담 후 위험요인을 찾아내게 됨정성적 위험성 평가 기법중 가장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 공장 및 플랜트 혹은 설비에 대하여 위험성과 운정성을 정해진 규칙과 설계도면을 바탕으로 체계적 분석 및 평가하는 방법정성적 평가 방법 (FMEA, PHA, Checklist, HAZOP)정량적 평가 방법 (ETA, FTA, CA, CCA, MORT, THERP) 2) 위험성 평가의 일반적인 절차 (1) 위험성 평가 및 대책 실시단계1단계 : 위험요인 ..

고장형태영향분석, FMEA, PFMEA, DFMEA

22-2-4 PFMEA(Process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와 관련하여 ① 분석은 언제 실시하며, ② 분석을 하는 이유는 무엇이고, ③ PFMEA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19-4-2 FMEA(failure mode effect analysis)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개요 1) FMEA (Failure Mode Effect Analysis) 정의 FMEA는 시스템적 방법으로, 시스템, 서브시스템, 부품에 대한 발생 가능한 모든 고장 모드를 결정하고, 이와 동시에 가능한 고장 영향 및 고장 원인을 제시하는 정성적 활동 DFMEA : 제품이 고객의 의도된 사용 목적을 충족하도록 제품 설계 및 설정 사양 개발에 초점 PFMEA : 제품이 설계..

시스템 안전, Fail Safe, Fool Proof, Temper Proof

1. 풀프루프(Fool Proof)설계 1) 풀프루프 정의 (오조작 방지 장치)모든 인간은 누구나 실수를 하며, 실수는 심각한 안전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operator) 혹은 근로자가 실수를 하더라도 공장 내 모든 기계의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설계되어야한다. 이 안정성을 확보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 풀프루프 설계 기계의 위험성을 이해하지 못한 사람이라도, 어떤 조작을 실수하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을 지칭  2) 풀프루프의 주요 원칙오류 예방 (Prevention)사용자가 잘못된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설계ex. USB 포트는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할 수 없도록 디자인오류 감지 (Detection)오류가 발생했을 때 이를 즉시 감지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설계.ex. 프린터는 종..

육성용접 (Surfacing), 하드페이싱, 언더하드닝

21-1-3 육성용접 (Surfacing)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1. 육성용접 (Surfacing), 하드페이싱(Hard facing) 1) 육성용접(Surfacing, Hard facing), 오버레이용접(Overlay Welding) 정의 금속 표면에 다른 금속을 융착시키는 것 (Hard facing == Surfacing)기계류 부품의 마모를 방지하거나, 마모된 부위를 재생시키는 수단으로 사용Hard Facing은 표면경화 목적으로 실시하는 작업을 총칭하며, 그 중 육성용접이 주요 방법임 (그 외 플라즈마 코팅, 스프레이 코팅 등이 있음) 용접봉으로는 합금강, 코발트 기반 합금(스텔라이트 등), 니켈 기반 합금, 텅스텐합금 (텅스텐카바이드 등)이 있음적용 가능한 모재로는 탄소강 (저 ~ 고), 공구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