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echanical Engineering Study 199

안전율 (Safety Factor), 안전율 선정, 안전계수, 파괴이론

23-2-6 기계나 구조물의 강도 설계 시 안전율(또는 안전계수, safety factor) 산정에 필요한 고려사항을 재료역학적 관점에서 설명하시오.15-2-1 기계구조물의 설계에서는 외부 환경과 하중의 종류에 따라서 설계의 기준강도가 다르다. 기준강도에 따른 안전율(Safety factor) 의 종류를 나열하고 설명하시오. 1. 개요 1) 안전계수(Safety factor)의 정의 안전계수는 여러가지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음 재료역학 관점에서, 전형적으로 사용하는 강도 / 응력 (기준강도 / 허용응력), 임계하중 / 작용하중, 부품파손하중 / 예상 사용 과부하, 최대사용주기 / 작용주기, 최대안저속도/운전속도 등이 그 예시 (항상 무차원수) 모든 기계요소는 잠재적 파손모드가 존재하기 때문에 (ex. 허용..

잔류응력의 영향, 잔류응력 해소법

1. 잔류응력  1) 잔류응력의 정의 용접, 불균일한 열처리 등에 의해, 가열 냉각이 불균일하여 생긴 열응력이 재료에 존재하는 응력물체가 외력도 없이, 상온인데도 불구하고, 재료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응력을 잔류응력이라고 함. 용접부품, 주조ㆍ단조부품은 가공 과정에 있어서 잔류응력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잔류응력을 지니고 있는 재료에 하중을 가하면 잔류응력이 하중에 대해서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좋은 설계는 잔류응력이 최소한 강도에 (-)의 효과를 만들지 않고 (+)의 효과를 만들기를 요구한다"  2) 잔류응력의 영향 용접시 발생하는 변형과 잔류응력은, 구조물의 치수가 틀어질 위험이 있고 변형이 있어 외력이 가해질시 생각 이상으로 큰 응력이 변형부에 집중해서 구조물이 약해질 수 있으며, 미..

갈바닉 부식 (Galvanic Corrosion), 이종재료 부식

1. 개요  1) 갈바닉 부식 정의이종 금속이 서로 접촉해서 전해질 환경 (ex. 수분, 소금물 등)에 존재할 때 발생하는 현상, 전지작용과 흡사 이반적으로 이종의 금속이 붙은 기계 구조물 (흔히 플랜지 등에 볼트 - 너트 체결)에서 쉽게 볼 수 있음 2) 갈바닉부식 원리어떤 금속이 다른 금속과 비교하여 이온으로 되기가 쉬운지 (이온 : Fe2+) 어려운지를 나타낸 척도이온화열에서 수소 좌측을 비금속(less noble metal, base metal -  non metal이 아님)이라 하고, 오른쪽에 있는 금소을 귀금속, 활성화금속(noble metal)이라 함칼륨 > 칼슘 > 나트륨 > 마그네슘 > 알루미늄 > 아연 > 철 > 니켈 > 주석 > 납 > 수소 > 구리 > 수은 > 은 >백금>금이온화경향..

스테인리스의 용접성, 용접 대책

1. 개요 1) 스테인리스강의 정의철의 내식성 부족을 개선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내식용 강의 총칭 (전혀 녹슬지 않는다는게 아니라 잘 녹슬지 않음) Cr이 적절히 포함되있는 합금강으로, Cr이 표면층 및 내부에 산화피막을 형성하여 부식을 지현시킴   강재 분류; 탄소강, 합금강, 특수강, 비조질강, 조질강, 듀얼페이스강, 스테인리스 강(듀플렉스강철강재료탄소강탈산 정도에 따른 탄소강 킬드강림드강세미킬드강구조용 압연강용접구조용 강재고장력강기계구조용탄소강 공구강탄소공구강 합금공구강 (alloy tool steel) 고속도공구강, 고속romanticdeer.tistory.com  2) 스테인리스강의 구분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400번 계열) 자경성, 내마모성 우수, 냉간성형성 우수, 용접성 불량, 양호한 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의 용접 대책, 슈퍼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1. 개요 1)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정의가장 내식성, 내열성 우수, 천이온도 낮음, 강인함, 열처리 경화 X, 고온강도 우수, 극저온 취성 X, 크리프 강도 높음, 그러나 인장강도에 비해 낮은 내력, 가공경화성이 높음 (소성이나 절삭가공이 곤란), 열팽창율이 탄소강의 1.5배이고 열전도율이 약 60%라서(낮아서) 용접 등의 열가공시 변형이나 잔류응력 문제가 있음, 또한 다른 재료와 접합시 접합부에 열응력 발생하기 쉬움, 가공시 조직의 일부가 가공유기마르텐사이트로 변화(가공으로 인해 경화), 자성이 생김 * 200번계열은 Cr-Ni-Mn계, 300번 계열은 Cr-Ni계   강재 분류; 탄소강, 합금강, 특수강, 비조질강, 조질강, 듀얼페이스강, 스테인리스 강(듀플렉스강철강재료탄소강탈산 정도에 따른 ..

밀링, 밀링머신의 종류, 밀링 특징, 상향절삭, 하향절삭, 밀링 채터링, 밀링 분할법

17-2-1 밀링 고정구의 설계시 고려사항 7가지를 설명하시오16-3-5 밀링가공에서 엔드밀 선정시 비틀림각, 날수, 홈깊이에 따른 각각의 선정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13-2-1 밀링(milling)작업에서 상향밀링과 하향밀링의 차이점을 그림으로 그려서 설명하고,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하시오1. 개요 1) 밀링머신의 정의 밀링 머신은 주축에 고정된 밀링커터를 회전시키고, 테이블에 고정한 가공물에 절삭 깊이와 이송을 주어 가공물을 필요한 형상으로 절삭하는 공작기계  2. 밀링 머신의 구성  1) 기본 구성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니 컬럼형 밀링머신 기준으로, 기둥(column), 새들(saddle), 테이블(table), 니(knee) 등으로 구성되며, 테이블이나 바이스(vise)로 가공물을 고정하고 좌우, ..

모형, 목형, 목형재료 구비조건, 목재의 건조법, 수축여유, 가공여유

21-1-1 주물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모형 중 부분목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20-3-5 목형용 목재의 건조법과 방부법에 대하여 설명 17-4-2 목형재료의 구비조건 3가지오와 목재의 건조법 6가지를 설명하시오 14-1-1 주조에 사용하는 모형의 종류 중 매치플레이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개요 1) 모형의정의모형은 소요 형상의 주물을 만들기 위해 각종 재료로 만든 원형 일반적으로 모형을 목재로 만들기 때문에 목형이라고 불림 (거의 모형 == 목형, 그러나 금속 모형도 있음)    목재의 장점목재는 금속에 비해 재료비, 가공비가 저렴하며 정밀도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그 장점이 더 부각된다 또한, 금속, 석고형보다 가볍고 가공성이 좋고 취성이 적다. 합성수지에 비해서 가격이 저렴하다.  목재의 단점   재질..

로터리 스웨이징(Rotary Swaging), 스웨이징(swaging)

16-1-3 로터리 스웨이징 (Rotary Swaging)에 대해 설명하시오 15-1-6 스웨이징(swaging)과 스피닝(spinning)을 설명하시오  1. 개요 1) 로터리 스웨이징, 스웨이징  정의 회전 단조의 한 종류, 2~4개의 해머와 금형이 주축에 의해 회전하고 위성롤(planatary roll)이 해머 위를 통과할때 해머를 밀어 소재를 가압하고 위성롤이 해머를 벗어나면 해머가 벌어지는데, 이를 반복하며 가공이 진행됨스웨이징은 다이를 회전시키면서 봉이나 관 또는 선재의 지름을 감소시켜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는 공정을 의미  2) 목적긴 축이 있는 중공 및 솔리드 부품을 위한 고성능 단조 공정 파이프, 중공 칼럼(자동차 스티어링용), 가이드 샤프트 등의 제조에 사용 파이프, 긴 축 형상의 생산 ..

압연가공(rolling), 압연 결함, 압연기 구분, 압하율, 압연 조건, 압연영향요소

압연가공온도에 따른 구분열간압연 (hot rolling)냉간압연 (cold rolling)제품에 따른 구분섹션압연기로드압연기바압연기시트압연기분괴압연기블룸빌렛슬래브압연 롤러 개수 및 조합 형식에 따른 구분2단식 압연기비가역 2단 압연기가역 2단 압연기3단식 압연기4단식 압연기6연 압연기특수 압연기센지미어 압연기 (Sendzimir Mill)유니버셜 압연기 (만능 압연기)유성 압연기조질압연 (Skin Pass Mill)  기계 20-1-3  다음 소성가공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압연가공 나. 압출가공 다. 인발가공 라. 프레스가공 마. 단조가공기계 18-2-6 클러스터 압연기의 개략도를 그리고 이 압연기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기계 16-2-5 클러스터 압연기의 개략도를 그리고 이 압연기를 사..

압연 - 열간압연강판 / 냉간압연강판 제조 공정

1. 개요 1) 압연(Rolling) 정의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사이로 재료를 통과히키며 압축하중을 가하며 두께를 줄이고 단면의 형상을 변형시켜 가종 판재, 봉재, 단면재를 생산하는 가공법  2) 압연에 따른 결과물 구분  2024.05.05 - [Mechanical Engineering Study/열처리 | 금속재료] - 강재 분류; 탄소강, 합금강, 특수강, 비조질강, 조질강, 듀얼페이스강, 스테인리스 강(듀플렉스강, 석출경화계, PH강), ADI강, TMCP강, 오스폼드강, 킬드강, 림드강, 세미킬드강  2. 제조 공정  1) 열간압연강판, 열연강판 제조 공정 슬래브(slab) 가열 → 조압연 → 사상압연 → 냉각 및 권취 ① 슬래브 가열연주공장에서 이송된 슬래브를 가열로에서 충분히 가열한 후(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