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개요
1) 전해연마 정의 (Electrolytic Polishing)
전해가공과 같은 원리.
전해액 중에서 양극(+)의 용출을 이용하여 표면을 평활하게 다듬질하는 방법
전기도금과는 반대 (일감이 양극(+), 공구가 음극(-)) : 음극에는 전기저항이 적은 구리, 아연 등을 연결함
전해가공에 비해 낮은 전류밀도 (1A/cm2)로 양극에 전기에 의한 화학적 용해작용을 일으켜 원하는 모양, 치수, 그리고 표면 상태로 가공하는 방법
2) 전해연마 목적
원하는 모양, 치수, 표면상태로 가공
3) 전해연마 원리
- 전해장치에서 전압을 높이면 일감에서 용출한 이온과 전해액 (과염소산, 인산, 황산, 질산)에 의해 비중, 점성, 전기저항이 높은 에멀션이 생성
- 에멀션이 오목부를 덮어 그 부분의 용출을 방해
- 요철 중 볼록부는 반대로 용출하게 되므로 (에멀션이 상대적으로 덮히지 않음) 표면이 평활하게 다듬질되고 광택이 나게 한다
2. 전해연마 특징
1) 장점
- 가공변질층이 나타나지 않음
- 복잡한 형상의 공작물, 선 등의 형상 연마 가능
- 가공면에 방향성이 없음
- 내마멸성 및 내부식성이 좋아짐
: 매끄러운 표면은 부식 매개체가 침투하고 흡착하기 어렵게 만들어 내식성이 향상됨.또한 마찰과 접촉응력이 감소하여 마모손상을 줄여 내마멸성을 높임 - 면이 깨끗하고 도금이 잘 됨 (매끄러운 표면)
2) 단점
- 연마량이 적어 깊은 홈은 제거되지 않고 모서리가 라운드됨
- 높은 초기 투자 비용
- 균일한 연마 어려움 (모서리 부분 불충분 연마, 특정 영역 집중 연마)
- 유독가스 형성되어 안전에 유의해야함
- 폐수처리장치 구비 필요 (공작물 표면 전해액 제거 물 정화 목적)
3. 전해연마에 대한 고찰
1) 전해연마 가공 조건
- 전류가 일정해지는 구간 (B-C) : 양극생성피막에 의해 경면의 전해연마를 얻는 조건
- A-B : 선택적 용해로 인한 전해 부식
- C-D : 가스 발생 수반으로 인한 다듬질면 배껍질화
2) 전해 연마액 구분
- 알칼리성 연마액 : Al, T, Zn 연마
- 산성 연마액 : Al, Cu, Ni, 탄소강, 스테인리스 연마
- CN연마액 : 금, 은, 카드뮴 연마
3) 기타 내용
- 전해연마는 높은 온도에서 작업하므로 전해액의 가열이 필요함
- 전해연마는 유독가스가 형성되어 배출장치가 필요
- 전해연마는 공작물 표면에 점성이 높은 전해액 (에멀션) 부착이 되기에, 제거를 위해 다량의 물이 필요하고, 배수시 전해액이 포함되므로 폐수처리장치가 필요하다
4. 참고 자료
반응형
'Mechanical Engineering Study > 특수가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닝 공정 (honing), 액체 호닝 (Liquid honing), 정밀공작, 미립자가공, 특수가공 (0) | 2024.07.18 |
---|---|
초음파가공 (Ultrasonic Machining), 초음파 용접, 초음파 융착, 초음파 연삭, 초음파 세척 (0) | 2024.03.30 |
브로칭(Broaching) (0) | 2024.03.21 |
숏피닝 (Shot Peening), 숏블라스트, 샌드블라스트, 그리트 블라스트 (1) | 2024.03.20 |
방전가공 (EDM;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0) | 2024.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