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chanical Engineering Study/소성가공
[소성가공, 2023] 가공경화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로망사슴
2023. 12. 8. 07:30
반응형
0. 키워드
- 가공경화
- 소성변형
- 인장강도
- 연성
- 경도
- 소성변형
1. 개요
가공경화 : 금속을 가공, 변형시켜 금속의 경도나 강도가 증가하는 현상
- 물체에 소성변형을 주면, 변형 정도가 늘어남에 따라 변형에 대한 저항이 증대하여 변형되지 않은 재료보다 단단해지는 성질을 말한다. (ex. 칼을 만들때 망치로 두들기거나 압착 또는 굽힘으로 금속을 강화시킴)
- 금속의 강화기구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 결정립 미세화 : 전위가 넘어야하는 결정립을 많이 만들어서 전위의 이동 방해
○ 고용체 강화 : 고용체 내 불순물 원자 주변에 격자 왜곡과 응력장 형성으로 장애물 역할을 하여 전위 이동 방해
○ 석출 경화 : 재료 내부에 단단한 석출물을 분산시켜 전위의 이동 방해
○ 가공 경화 : 금속이 변형을 일으킴에 따라 더 단단해짐 (발생된 수많은 전위가 서로 얽혀 변형 방해)
2. 가공경화 형성 기구 (메커니즘)
- 모든 강화 기구는 실질적으로 전위의 움직임을 방해하는것이 최종 목표이다
(전위의 움직임이 어려울수록 재료가 더 단단해지고 강해진다) - 재료를 가공하면 물질의 결정 구조내에서 전위의 이동과 전위의 생성으로 변형이 발생 (소성변형의 메커니즘)
○ 전위 (Dislocation) : 일정한 결정 구조를 갖는 물질(ex. 금속)내에서 전단응력에 의해 원자의 배열이 어긋난 선형의 결함. 그 선을 전위선이라고 하며 주변 원자에 격자 뒤틀림을 유발한다 (소성변형) - 변형이 진행될수록 발생된 수많은 전위가 서로 얽혀 더 이상의 변형을 방해하게 됨
- 가공 경화된 재료는 항복점이 높아지고 단단해지지만, 메짐성이 커져서 가공을 하다보면 파괴된다.
S-S 커브 기반 메커니즘의 이해
- 항복응력 이상의 외력을 가한 후 제거하면 소성변형이 생긴다.
- 소성변형이 생긴 재료에 다시 외력을 가하면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항복응력이 시그마 0(2)에서 시그마y(3)로 변경된다.
- 이와 같이 소성변형이 발생한 금속의 항복점은(3) 최초 항복점보다 높아지게 되며(2), 이는 재료가 같은 방향으로 소성변형을 일으킬때 더 큰 힘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3. 가공경화 제거 방법
- 열처리로 가공경화된 결정을 초기화하는 방법 : 재결정(Recrystaliztion)
- 재결정온도 : 1시간동안에 100% 재결정이 완료되는 온도
- 풀림(Annealing)을 통해, 결정립을 재결정화하여 이동된 전위와 변형을 되돌린다.
반응형